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일·대상·사용처 총정리 (2025년 최신 안내)

 

✅ 지급대상

지급대상은 *소득 상위 10%를 제외한 국민 90%*입니다.
기준은 2025년 6월 부과된 건강보험료 합산액(본인부담금, 장기요양 제외)으로 산정합니다.
단,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 2,000만 원 초과 가구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맞벌이 등 다소득 가구는 가구원 수 1명 추가 보정 규정이 적용됩니다.

👉 즉, 고액자산가를 제외하고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 하위 90%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직장가입자: 4인 가구 기준 51만 원 미만
지역가입자: 소득 및 재산 기준 반영
혼합가입자: 합산 후 기준 적용

 

📅 지급일

소비쿠폰은 2025년 9월 22일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되며,
가구별 신청 및 확인 절차를 거쳐 지급됩니다.

신청 및 지급 기간 : 2025년 9월 22일 ~ 10월 31일
사용 기한 : 지급일로부터 2025년 11월 30일까지

👉 신청 기간 내에 반드시 접수해야 하며, 사용 기한이 지나면 자동 소멸됩니다.

 

📌 기준

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을 기준으로 소득 하위 90% 여부가 결정됩니다.
기준표는 건강보험공단과 정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예시 기준(본인부담금 기준)
1인 가구: 220,000원 이하
4인 가구: 510,000원 이하
7인 가구: 780,000원 이하

※ 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, 혼합가구별 세부 기준은
행정안전부와 지자체 공고문을 참고해야 합니다.

 

💳 지원형태

지원금은 쿠폰 또는 바우처 형태로 지급되며,
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정된 업종과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

지급 방식 선택 가능: 신용·체크카드 충전, 선불카드, 지역사랑상품권(지류·모바일·카드형)
신청 방법: 정부·지자체 홈페이지, 국민비서(네이버·카카오·토스 연계), 주민센터 방문 신청

🏪 사용처

소비쿠폰은 생활밀착형 업종을 중심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사용 가능 업종
전통시장, 동네마트
음식점, 카페
미용실, 세탁소, 약국 등 생활 밀착 업종
사용 불가 업종
백화점, 대형마트
온라인 쇼핑몰
명품 매장, 유흥업소

또한 일부 지역 농협·생협·하나로마트 등은 지역 여건에 따라 사용 가능하도록 예외 적용됩니다.

👉 더 자세한 안내는 정부24 및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🔎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요약

대상 : 소득 하위 90% 가구 (건강보험료 기준)
제외 : 고액자산가 (재산세 과세표준 12억↑, 금융소득 2천만↑)
신청·지급일 : 2025년 9월 22일 ~ 10월 31일
사용기한 : 2025년 11월 30일까지
지원형태 : 카드 포인트, 선불카드, 지역사랑상품권
사용처 : 소상공인 업종 중심, 대형마트·온라인몰 제외

👉 더 자세한 안내는 정부24 및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